■ ESS화재사고 조사결과발표-전기안전공사
페이지 정보
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0-02-11 09:57 조회865회 댓글0건첨부파일
-
보도자료ESS 화재사고 조사결과 발표-조사단 1.pdf (215.2K) 9회 다운로드 DATE : 2020-02-11 09:57:33
-
참고자료ESS 화재사고 조사결과 보고서-조사단.pdf (3.3M) 5회 다운로드 DATE : 2020-02-11 09:57:33
본문
ESS 화재사고 조사단, 5곳의 화재사고 조사결과 발표
□ 'ESS 화재사고 조사단은 19년 8월 이후 발생한 5건의 ESS 화재사고에 대하여 원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.
* 조사단(공동단장) : 숭실대학교 김재철 교수, 한국전기안전공사 문이연 이사
** 충남예산, 강원평창, 경북군위, 경남하동, 경남김해
□ 조사단은 지난 조사위 결과, 사고 사업장의 운영기록 등을 분석하고 현장조사, 배터리 해체분석, 유사 ESS현장 검측, 입체 단층촬영(3D X-ray CT) 검사 및 검증시험 등 광법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.
■ 개별 화자사고 확인사항
1. 충남예산
- 배터리가 발화지점인 것으로 분석되었고,
- 사고사업장과 동일모델, 동일시기에 설치된 인접 ESS사업장에서 유사한 배터리를 수거하여 해체분석한 결과,
; 일부 파편이 양극판에 점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, 배터리 분리막에서 리튬-석출물이 형성된 것도 확인하였다.
2. 강원평창
- 배터리가 발화지접으로 분석,
- 과거운영기록에서 충전시 상한전압과 방전시 하한전압의 범위를 넘는 충방전 현상이 발견되었고, 특히 이 경우에 배터리 보호기능도 동작하지 않았던 것을 확인하였다.
- 또한, 사고사업장과 동일모델, 동일시기에 설치된 인접 ESS사업장에서 유사한 배터리를 수거하여 해체분석한 결과,
; 양극판 내부손상이 확인되엇고, 분리막에서 구리성분이 검출
3. 경북군위
- CCTV와 운영기록을 통해 배터리가 발화지점인 것으로 분석
- 사고사업장에서 전소되지 않고 남은 배터리 중 유사한 운영기록을 보인 배터리를 해체분석한 결과, 음극활물질 돌기 형성을 확인
4. 경남하동
- 2열로 구성된 ESS 설비 중 한쪽에서 급격한 절연성능 저하가 먼저 발생하였고, 이후에 다른 쪽의 절연성능도 서서히 저화된 것이 확인 되었다.
- 그러나, 배터리 이상으로 지목할 수 있는 운영기록은 확인되지 않았고, 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영향 가능성도 현장조사 결과 낮은 것으로 판단하였다.
5. 경남김해
- CCTV 및 EMS(시스템운영기록)을 통해 배터리가 발화지점인 것으로 분석,
; 그간의 운영기록을 분석한 결과, 6개월 동안 화재가 발생한 저점의 배터리들 간에 전압편차가 커지는 경향도 확인
- 사고사업장과 동일모델, 동일시기에 설치된 인접 ESS사업장에서 유사한 배터리를 수거하여 해체분석한 결과,
; 양극판 접힘현상이 발견되고, 분리막과 음극판에 갈변황색반점이 확이되어, 이를 정밀 분석한 결과 구리와 나트륨 성분등이 검출되었다.
■ 결과 및 평가
1. 충남예산, 강원평창, 경북군위, 경남김해 : 배터리 이상을 화재원인으로 추정
2. 경남하동 : 노출된 가압 충전부에 외부 이물이 접촉하여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추정
□ 조사단은 높은 충전율 조건(95%이상)으로 운영하는 방식과 배터리 이상 현상이 결합되얻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
; 충전율을 낮추어 운전하는 등 배터리 유지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화재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